저희 회사가 인증과 관련된 정보가 많이 부족하여 문의드립니다.
저희는 최종적으로 우수제품에 등록하려고 하는데 우수제품에 등록하려면 신기술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net, nep인증을 취득하려고 하는데 net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면 nep인증을 따기 좀 수월해지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우수제품 등록을 위해 저희가 필수적으로 준비해야하는 것이 어떤것이 있는지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희 회사가 인증과 관련된 정보가 많이 부족하여 문의드립니다.
저희는 최종적으로 우수제품에 등록하려고 하는데 우수제품에 등록하려면 신기술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net, nep인증을 취득하려고 하는데 net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면 nep인증을 따기 좀 수월해지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우수제품 등록을 위해 저희가 필수적으로 준비해야하는 것이 어떤것이 있는지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희 회사가 인증과 관련된 정보가 많이 부족하여 문의드립니다.
저희는 최종적으로 우수제품에 등록하려고 하는데 우수제품에 등록하려면 신기술인증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net, nep인증을 취득하려고 하는데 net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면 nep인증을 따기 좀 수월해지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우수제품 등록을 위해 저희가 필수적으로 준비해야하는 것이 어떤것이 있는지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메이저위드 김준석 사원입니다.
문의주신 내용 중 net인증과 nep인증은 별도의 인증으로, net는 생산기술에 포커스를, nep는 제품성능에 포커스를 맞추어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net와 nep인증의 신청요건은 3년이내 등록된 특허를 보유하는 것입니다.(net는 출원중인 특허도 가능합니다.) 또한 net는 실적이 있으면 진행이 불가능하며 nep의 경우는 실적이 필요합니다.
우수제품 신청을 위해서는 기술소명과 품질소명이 필요하며 기술소명자료로는 특허(5년 이내 등록)와 net/nep인증이 있고 품질소명자료로는 성능인증, k마크, 환경마크 등이 있습니다. (단, nep인증은 품질소명이 생략됩니다.)
예시1) 특허 보유 + 성능인증 보유 = 우수제품 신청 가능
예시 2) nep 보유 = 우수제품 신청 가능
예시 3) net 보유 = 우수제품 신청 불가능(품질소명자료 필요)
우수제품 신청 및 진행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조달청 홈페이지(https://www.pps.go.kr/)의 업무안내 → 주요정책 → 우수제품에서 찾아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문의 사항 또는 어려움이 있으시면 연락주십시오.
감사합니다.
메이저위드(주) 신기술파트 김준석 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