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는 2000년 초반에 ISO 인증을 받고 최근에 KS인증을 받았습니다. KS 컨설팅하시는 분이 ISO와 KS는 다르니 별도로 사규를 만들어야 한다고 해서 그렇게 준비하여 KS인증을 받았습니다.
KS인증심사시 심사원이 별도로 관리하는 것을 잘 했다고 하셨는데, 그 다음 다른 심사원이 와서는 왜 별도로 관리하냐고 하십니다. 제가 볼때에도 통합할 수 있으면 통합해서 관리하는 것이 맞을 것 같은데, 무엇이 맞을까요? 그리고 통합 컨설팅도 가능한가요? 아직 상사분들에게 보고된 내용이 아니어서 조용히 알아보고 싶습니다. 개인 이메일로 답변주세요.
--------------------------------------------------------------------------
저희 회사에 문의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대부분의 인증들이 ISO 9001인증을 기반으로 합니다. KS인증도 ISO 9001의 요구사항과 중복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013년 4월 1일부터 적용하는 새로운 KS인증심사보고서에도 ISO 9001 인증을 받은 업체인 경우에는 10개 항목(10점)을 심사시 면제해 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ISO 인증시 구축한 시스템과 KS 인증시 구축한 회사표준은 통합하는 것이 맞습니다. 물론 통합 컨설팅도 가능합니다. 통합 컨설팅은 그렇게 많은 비용이 들지 않으니 보고후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상담 신 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