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신기술)인증은 합격률이 10% 내외로 집계되는, 국내 기술인증 국내 기술인증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인증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수요처의 요구사항, 판로개척 등의 이유로 여러 기업에서 신기술 인증 취득을 희망하고 있지만, 난이도 높은 신기술 인증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몰라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습니다.
KS Q 8001에서 자재관리는 핵심품질(2.1항목)에 해당되는 내용으로, 자재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인증기관에 지속적으로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특히나 KTR(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의 경우, 자재 변경 건에 대해 까다롭게 검토하는 편이며, 자재가 변경되었을 때는 '자재 변경 신청'을 진행해야 합니다.
한국콘크리트공업협동조합연합회에서는 지난 2021년 12월 28일에 심사 평가항목에 대한 개정 공지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2022년 1월 1일 부로 실시되며, 이와 관련하여 제품심사/공장심사 별 심사 평가항목 개정사항을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공장심사는 KS Q 8001의 공장심사항목을 따르게 되는데, 제품심사 항목은 내용은 겹치지만 일부 심사항목 구분이 달리 되어 있습니다.
KS인증을 준비중이라면 품질관리담당자 교육 및 경영간부 교육이 필수입니다.(품질경영기사 또는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는 품질관리담당자 교육 해당 없음) 두 교육은 한국표준협회에서 운영하는 KSA EDU 사이트에서 일정 확인 후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조기마감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2022년 일정을 미리 확인해야 하겠죠?
최근 환경관련 이슈와 기준이 점점 강화되고 있으므로 인증기준 개정을 빠르게 파악하여 인증을 취득할 목적 또는 인증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에서도 향후 문제 발생이 나타나지 않도록 준비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개정된 환경표지 "EL223.대변기" 인증기준의 주요 핵심사항에 대하여 안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