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제2회 우수제품 접수현황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2015년 2회차 우수제품 접수결과가 조달청 홈페이지에 게재되었습니다.
신청업체수는 총 227개 업체로 평소 150개의 신청업체 수를 보이던데 반해서 약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존 1년 6회 신청에서 작년 5회 신청으로 줄어들고 올 해는 총 4회로 신청 횟수가 줄어듬에
따라 업체의 신청 수가 늘어난 것인데요.
2회차가 줄어듬에 따라 그만큼 업체가 한 회 신청에 몰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우수제품
경쟁도 심화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이번 접수현황 공개 자료에서 눈에 뛰는 점이 또 한 가지 있는데요.
유사제품군 또는 동일 제품군 별로 정리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기존 우수제품 심사
소개 글에서도 설명 드렸듯이 기존 우수제품 심사의 업체를 큰 분과별로 나눈 후 섞어서
심사했던데 반하여 동일 제품군을 묶어서 한 날에 심사를 받도록 하고 있는 것과 일맥상통
하는 부분입니다.
이 접수현황을 단순히 접수 결과로 볼 것이 아니라, 우리 제품과 같은 제품이 어떠한 것들이
있고 또 어떠한 특성을 지닌 제품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우수제품 심사에 있어서 유리할 것
으로 판단 됩니다.
따라서 경쟁업체의 유무 및 경쟁업체의 기술 및 특성을 파악하시어 우수제품 현장 심사
당일 나올 수 있는 심사위원들의 예상 질문들과 우리 제품의 핵심 기술 및 성능을 타 제품과
비교 제시하여 상대적으로 좋은 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합니다.
어떤 점을 살펴야 하는지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경쟁업체 수 : 우수제품 신청한 동일제품 타업체가 얼마정도 되는지 기본적으로 확인
필요
2. 경쟁업체의 기술은 : 타 업체가 어떤 기술로 우수제품을 신청하는지 인증 및 적용 특허 등
을 탐색하여 이에 대해 파악이 필요합니다.
3. 심사위원 예상질문 : 발표 순서에 따라 이전에 심사받은 업체가 강조한 기술 및 성능 등에
대한 질문이 나올 가능성이 크므로 이에 대해 준비하여야 합니다.
4. 시장현황 : 시장규모 및 현재 우수제품 등록 업체 수 등을 파악하여 우수제품 지정에 여유
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상 우수제품 접수현황 자료 관련하여 파악할 점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렸습니다.
자료 활용하시어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