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KS인증과 KS인증심사에 관련된 주요질문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S인증, KS인증심사에 관련된 주요 질문사항입니다.
⦿ KS인증을 받고자하는데 전반적인 절차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1) KS인증 표시지정 여부 확인
- KS인증을 신청하려는 품목(제품/서비스)의 KS표준과 인증심사기준이 제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http://www.standard.go.kr/)
2)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 도입
① 사내표준화 구축 : 회사의 모든 분야에 대하여 회사 규모나 실정에 적합하도록 사내표준화를 추진하고, 전 조직원은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맡은 업무에 대하여 사내표준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합니다.
② 품질경영 기법 도입 : 회사표준이 정하는 바에 따라 과학적․합리적인 품질경영을 추진 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여 실시하여야 합니다.
③ 추가사항
- 교육․훈련의 실시: 관련 법 규정의 개정이나 표준화 및 품질경영의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새로운 관리기법 등의 적용을 위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직위와 직책에 따라 자기 업무와 관련된 전문 교육을 이수토록 의무화하고, 전종업원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합니다.
* 경영간부, 품질관리담당자 등 산업표준화 및 품질경영교육을 이수
- 품질관리담당자 및 기술계 인력 확보: 해당 분야의 경험과 전문지식을 가진 적정한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맡은 직무를 성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자격(품질관리기술사, 품질경영기사, 품질경영산업기사, 품질관리담당자 등)을 갖춘 품질관리 담당자 확보
- 제조설비, 검사설비 확보 : 품목별 인증심사기준에서 당해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최소한의 제조설비와 당해 제품의 품질특성과 자재 및 제품을 시험․검사할 수 있는 검사설비를 정하고 있습니다.
- 제품심사를 위한 시료 확보: 심사기준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시료채취에 충분한 종류별 시료를 확보합니다.
- 3개월 이상의 관리실적 확보: 사내표준화 추진 및 공장(사업장) 운영 실적 관리합니다.
3) KS인증 심사신청 및 심사수행
- KS인증지원시스템(http://www.ksmark.or.kr/)에 접속하여 KS인증심사를 신청합니다.
- 인증신청 시 인증범위(사업장 및 품목에 대한 종류 및 등급)를 명확히 정하여 신청하십시오.
- KSA지역본부·본부에서 해당 신청 건을 처리하여 신청기업에 심사계획을 통보합니다.
- 이후 심사를 진행합니다.